웹프로그래밍

CSS의 기초

joymundo 2024. 6. 11. 08:41

HTML 문서 안에서는 디자인을 입힐 수 있는 방식이 여러 개 있다.

  1. <head> 안에 <style> 태그 만들기
  2. body 구역의 h, p 등 태그들 안에 직접적으로 스타일 넣기
  3. <link> 태그로 css 파일을 불러오기

1. <head> 안에 <style> 태그 만들기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
	<meta charset="utf-8">

	<style>
		h1 {
			color: red;
		}

	</style>
</head>
<body>

	<h1 style="background-color: pink;">Hello World</h1>

</body>
</html>

Hello World

 

2. <body> 구역 안의 <h>, <p> 등의 태그에 직접적으로 스타일 넣기

이 방식은 코드가 조금만 길어져도 비효율적이고 헷갈릴 수 있다.

 

3. <link> 태그로 작성해 둔 CSS 파일 불러오기

새로운 파일인 style.css를 같은 폴더 내에 생성하고 <link> 태그로 이 파일을 불러오는 방식이다.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
	<meta charset="utf-8">

	<style>
		h1 {
			color: red;
		}

	</style>

	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style.css">

</head>

여기서 rel은 링크 태그로 연동되는 파일의 타입을 말해준다.

type은 연동되는 파일의 글자는 css라는 것을 설명해 준다.

href는 연동된 파일의 경로를 말해준다.


[참고 사항]

CSS의 주석 처리

/* */ 입력하면 그 안의 내용은 주석 처리 된다.


 

HTML

부모 자식 관계의 태그

	<header>
		<ul>
			<li></li>

			<li></li>

			<li></li>
		</ul>
	</header>
</body>

HTML에서는 태그 내에 다른 태그들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다른 태그를 품는 태그가 부모 태그다.

위의 코드에서는 <header><ul>부모 태그이며, 반대로 <ul><header>자식 태그가 되는 것이다.

그리고 ul 안의 <li> 태그들은 서로 같은 위치선상에 있기 때문에 이들끼리는 형제 태그라고 칭한다.

 

CSS

 

이제 CSS 파일로 돌아와서 각각의 태그에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다.

<header> 태그 스타일을 지정하면 그 밑의 <h1><p>에 스타일이 적용되지만 만약에 따로 <h1><p>에 각각 스타일을 지정하게 되면 그 스타일을 따르게 된다.

즉 본인 태그에 스타일을 지정하면 부모 자식 관계 태그와는 관련 없이 자기 스타일을 갖게 되는 것이다.

또한 내가 <footer><h1>이나 <p>에게는 스타일 적용하고 싶지 않으면 <h1><p> 앞에 소속 태그를 명시해 줌으로써 내가 원하는 부분의 <h1>, <p> 태그에만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.

 

HTML 코드 작성:

<header>
		<h1>header h1</h1>
		<p>header p</p>
		<a href="#">다음</a>
	</header>

	<footer>
		<h1>footer h1</h1>
		<p>footer p</p>
	</footer>

 

CSS 코드 작성:

header {
	color: red;
}

header h1 {
	color: blue;
}

header p {
	color: green;
}

CSS : 여러 개의 태그에 스타일을 한 번에 적용하기

 ✏️ 선택자 1, 선택자 2 { 스타일 규칙 } ← 그룹 선택자

 

CSS 코드 작성:

header h1,
footer h1 {
	color: blue;
}

header p,
footer p {
	color: green;
}

/*
footer h1 {
	color: blue;
}

footer p {
	color: green;
}
*/

 

선택자는 다음 글에서 설명하겠다.